국내살림정보 외 다수

서울 쥐 방역 총정리|신고 방법·우리집/가게 퇴치 루틴·여름철 감염병 주의(2025)

meinraum 2025. 8. 23. 16:58

120/앱 신고, 가정·사업장 퇴치 루틴, 여름철 감염병 예방까지 한 번에 정리. 장마철 쥐 출몰 뉴스 대응 가이드

 

 

서울 쥐 방역 총정리|신고 방법·우리집/가게 퇴치 루틴·여름철 감염병 주의(2025)

“엘리베이터 앞, 쓰레기장 근처… 요즘 왜 이렇게 쥐가 보이지?”
올 여름 유독 긴 폭염과 장마가 겹치며 서울 곳곳에서 쥐 출몰 신고가 늘고 있어요. 지금은 ‘한 번 보고 지나치기’보다, 즉시 신고 + 생활 방역이 더 큰 피해를 막는 지름길입니다.

바로 신고
• 전화: 120 다산콜 (연중무휴 24시간 연결)
• 앱/웹: 서울스마트불편신고 (위치·사진/영상 등록 → 처리과정/결과 확인)
※ 관할 구청/보건소에 전달되어 현장 점검·방역이 이뤄집니다.

왜 지금 늘었나 · 신고 방법(120/앱) · 가정 퇴치 루틴 · 식당·카페 사업장 체크리스트 · 여름철 감염병 주의 · FAQ

 

왜 지금 쥐가 늘었나? (트렌드 한 줄 요약)

  • 장마·폭우로 하수/지하 공간이 교란되며 지상 출몰↑
  • 도시 온도 상승·고밀도 주거로 서식 조건↑
  • 서울시는 트랩 고도화·순찰 강화·신고 독려

 

서울 쥐 출몰 신고 방법 (3단계)

 

1) 위치·증거 확보

발견 시 정확한 위치(주소/랜드마크)사진·영상을 남깁니다. 골목/지하주차장/쓰레기 보관소 등 구체적일수록 처리 속도가 빨라요.

2) 120 또는 앱으로 접수

  • 전화 120: 유형 “쥐 출몰/방역” 구두 접수
  • 서울스마트불편신고: 위치 지정 → 사진/영상 업로드 → 전송

3) 처리상태 확인

앱/웹에서 처리과정·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요(접수→처리중→완료).

 

우리집 쥐 퇴치 루틴(7일 + 30일)

 

먼저 7일 집중 플랜

  • 차단: 문틈·배수구·싱크대 하부 빈틈을 문틈막이·스틸울로 메우기
  • 청결: 사료/간식·과일·빵류 밀폐용기 보관, 밤엔 싱크대·바닥 젖은걸레 마감
  • 유인원인 제거: 쓰레기 배출시간 엄수, 음식물쓰레기 이중 밀봉
  • 모니터링: 통로 예상 지점(벽면/구석)에 모니터링 카드·트랩 설치 후 흔적(배설물/이빨자국/기름자국) 체크

다음 30일 유지 루틴

  • 주 1회 배수구 트랩·틈새 상태 점검
  • 주 2회 음식물쓰레기통·베란다 바닥 소독 청소
  • 월 1회 공용부(복도·쓰레기장) 관리사무소와 합동점검

※ 초음파 기기 등은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어요. 차단·청결·모니터링의 기본 3단계를 우선하세요.

 

식당·카페 사업장 방역 체크리스트

  • 적치·밀폐: 원재료/소분 식재는 파렛·랙 보관, 바닥 적치 금지
  • 개구부: 배수구/환기구 메쉬망·문풍지 보강(문 닫힘장치)
  • 쓰레기: 마감 전 음식물통 세척·건조, 야외 보관 시 밀폐 뚜껑
  • 모니터링: 벽면을 따라 포획/스냅 트랩 배치, 매장 평면에 점검표 기록
  • 공동체계: 건물 공용부(쓰레기장/배관실)는 관리주체와 공동 방제 요청

 

여름철 감염병 주의 & 예방

 

설치류는 렙토스피라증, 신증후군출혈열(HFRS, ‘Seoul 바이러스’ 등) 등 감염병을 매개할 수 있어요. 침수·하수 작업, 수해 복구 시엔 방수 장갑·장화·마스크 등 보호구를 착용하고, 물/배설물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.

  • 야외·작업 후 곧바로 세척·샤워, 상처 부위는 방수 처리
  • 사체/배설물은 직접 건조 쓸기 금지 — 분진 흡입을 피하고 젖은 청소·소독 우선
  • 고위험군(농작업·군인 등)은 HFRS 백신 안내 확인

 

FAQ

Q1. 신고는 어디로? 사진·영상 꼭 필요?

A. 120 다산콜 또는 서울스마트불편신고 앱으로 접수하세요. 위치와 현장 사진/영상을 함께 올리면 처리 속도가 빨라집니다.

Q2. 쥐 사체를 발견했다면?

A. 맨손 접촉을 피하고 장갑·마스크를 착용, 젖은 청소 방식으로 처리 후 손위생/환기를 충분히 하세요. 필요 시 120 또는 관리사무소에 문의하세요.

Q3. 우리 동네 공용부(쓰레기장/하수구)가 핵심 같아요.

A. 건물 관리주체·구청과 공동 방제가 효과적입니다. 신고 시 반드시 ‘공용부 위치’를 명시하세요.

 

 

 

반응형